network

ping과 tracert을 통해 네트워크 문제 추정하기

탈출시도자 2009. 1. 24. 23:15

네트워크에 장애가 생겼을 때 사람들은 보통 ping을 때려봅니다.

Ping 이 되면 일단 OSI 7 Layer 중에서 1, 2, 3 (물리층, 데이터링크층, 네트워크층)계층에 문제가 없다는 말입니다.

즉, Ping 이 되면 랜카드, 랜케이블에는 문제가 없습니다. Ping이 안되면 랜카드, 랜케이블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.

Ping 이 되는데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경우는 4, 5, 6, 7(트랜스포트, 세션, 프리젠테이션, 어플리케이션) 계층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워낙 많은 가능성 있는 에러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히 어느 곳이 잘못되었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.

방법1> tracert www.yahoo.com 명령으로 과연 네트워크 트래픽이 '어디까지' 나갈 수 있는지 알아본다. 예를 들어, 만약 tracert가 관문라우터까지만 성공한다면 관문라우터 에러임을 알 수 있다.

방법2> TCP/IP Protocol Suit를 내렸다 올린다. 네트워크등록정보에서 'TCP/IP 프로토콜'을 '삭제'했다가 다시 '추가'한다. 이것은 마치 컴퓨터가 버벅댈 때 껐다가 다시 켜는 효과와 같습니다.

방법3> 익스플로러의 도구>옵션에서 '연결'탭의 'LAN' 옵션을 확인한다. 나의 IP는 제대로 설정되었는지, 서브넷마스크는 올바른지, 게이트웨이와 DNS의 IP는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한다.

방법4> 일부 회사에서는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pac 화일을 사용한다. '자동구성스크립트'에 올바른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.(회사마다 다르겠죠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출처 : 네이버 지식인

 

ping은 나가는데 인터넷이 되지 않을때   2008.10.09 ping되는데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경우는 4, 5, 6, 7(트랜스포트, 세션, 프리젠테이션, 어플리케이션) 계층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? 워낙 많은 가능성 있는 에러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히 어느 곳이 잘못되었는지 현재로서는... http://bmyluv.tistory.com   qd

 

다음 인터넷 되는데 ping